본문 바로가기
건강 기능성 소재

면역 증진 기능성 소재 락토페린 (Lactoferrin)

by 초록 냉장고 2024. 2. 25.
반응형

락토페린(lactoferrin)은 1960년대에 처음 발견된 트랜스페린 계열의 철 결합 단백질 중 하나 입니다. 모유에서의 락토페린 함량은 초유에서 7mg/mL로 가장 높으며, 이후 젖이 나오면서 점차 감소하여 약 1-2mg/mL로 줄어들게 됩니다. 신생아는 태어난 첫 몇 개월 동안 모유로부터 하루에 300~800mg의 락토페린을 섭취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소의 우유에서 락토페린의 함량은 모유보다 낮은 편으로, 대략 0.2mg/ml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락토페린은 철 이온을 고정시키는 능력이 있어, 세균이 철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락토페린은 항산화 성질도 가지고 있어, 세포를 자유 라디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조직의 손상을 줄이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락토페린의 면역강화 효과 

락토페린은 면역계를 강화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세포 배양과 동물을 이용한 실험들은 락토페린이 다앙한 박테리아에 직접 작용하는 것 외에도, 선천성 면역체계의 세포 기능을 강화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특히 우유와 소화기계의 분비물에는 락토페린이 풍부하게 존재하고 분비되는데, 이는 첫번 째 방어선에서 락토페린의 중요한 역할을 시사합니다. 또한 락토페린은 호중구의 두번째 소포에서 분비되어, 염증 과정 중에 감염된 조직과 혈액에 방출됩니다. 락토페린의 직접적인 항균성 이외에도, 이 단백질이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감염 및  패혈증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은 많은 체내외 실험에서 설명되었습니다. 락토페린이 염증과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세포 및 분자 메커니즘은 현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세포 수준에서 락토페린은 면역 세포의 이동 및 성숙 기능을 조절합니다. 분자 수준에서는 철 결합 이외에도 락토페린이 수용성 또는 막 분자와 같은  수 많은 화합물과 상호 작용 함으로써 그 조절 특성이 나타납니다. 락토페린은 호중구의 포식 기능과 NK세포 활동을 강화하며, 반응성 산소 종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대식세포 활동을 증가시켜 사이토카인과 질산화물의 생산을 촉진합니다.  또한, 염증 신호에 대한 반응으로 호중구의 비대립화가 발생하면, 락토페린은 NK세포, 수지상세포, 대식세포와 같은 선천성 면역 체계의 세포와 T세포 및 B세포와 같은 획득 면역 체계의 세포가 공존하는 환경으로 방출됩니다. 또한, 특정 락토페린-결합 수용체가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대식세포와 수지상 세포와 같은 면역기능을 가진 세포가 포함됩니다. 

개별인정형 기능성원료 락토페린 (우유유래 정제 단백질)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락토페린의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임의로 대조된, 이중 맹검, 플라시보 대조 인체적용 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62명의 건강한 남성과 여성이 무작위로 락토페린 그룹 (하루에 소 유래 락토페린 300mg섭취)과 플라시보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들은 3개월 동안 매일 지정된 보충제를 섭취하였습니다. 혈액 세포 수 , 말초 혈액 림프구 하위 집단 비율, 호중구의 포식 기능, 자연 살해 세포 (NK cell)독성 그리고 혈청 granulysin과 lysozyme의 농도를 매달 측정하였습니다. 3개월 투약 후 락토페린 그룹과 플라시보 그룹 사이에서 말초혈액 림프구 하위집단 수 (CD16+, CD56+, CD86+), 호중구의 포식 기능, 그리고 NK 세포의 세포독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습니다. CD16+, CD56+, CD86+ 세포의 비율 증가는 락토페린 투여가 NK 세포와 항원을 제시하는 세포(수지상 세포와 대식세포)의 개체 수를 증가시켰음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 결과는 노인들의 선천성 면역 체계의 면역 세포들이 락토페린 섭취에 의해 활성화 되었다는 것을 제안합니다. 따라서 장내용 락토페린 보충제는 노인들의 면역 기능에 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락토페린(우유유래정제단백질)면역기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023-382009) 기능성으로 식품의약품 안전처로부터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승인을 받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