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남성이란 보통 40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70대까지 이르는 기간동안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점차 감소하는 현상을 겪는 남성을 말합니다. 이를 의학적으로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또는 '안드로포즈(andropause)'라고도 합니다. 대략적으로 남성의 약 30%가 갱년기 관련 증상을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성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갱년기 남성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이들의 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갱년기 남성이 경험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에너지 저하, 근육량 감소, 체중 증가, 뼈의 밀도 감소, 발기 부전등이 있으며, 정신적 증상으로 우울감, 불안,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소, 수면 장애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땀을 많이 흘리고, 뜨거운 열감을 나타내는 증상도 알려져 있습니다.
두충의 약리효과
두충은 전통적으로 동양의 약용 식물로 사용되어 온 나무의 수피입니다. 주로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왔으며, 혈압 조절, 뼈와 근육강화, 항염 및 항산화 효과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충에는 이리도이드(iridoids)라는 화합물이 표함되어 있는데, 이 성분이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혈관의 이완을 도와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고혈압 관리에 유익할 수 있습니다. 두충은 뼈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뼈의 성장과 치유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 근육 강화 및 관절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두 충은 강력한 항염 및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염증을 줄이고 체내의 유해한 자유 라디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줄 수있습니다. 이는 만성 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유익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두충이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고 신경계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이는 불안감 감소 및 수면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두충은 혈당 조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 시키소,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당뇨병 관리에 유익할 수 있습니다.
우슬의 약리효과
우슬은 전통적으로 한의학에서 통증완화, 혈액 순환 촉진, 관절 건강 개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최근 연구를 통해 우슬의 다양한 약리효과 및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점차 밝혀지고 있습니다. 우슬은 탁월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통증 관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통, 근육통 등 다양한 유형의 통증 완화에도 효과적인 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슬에 포함된 활성 성분들은 혈액순환을 개선하는데 기여 할 수있으며, 이는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도와 건강한 신체 기능 유지에 중요합니다. 특히, 말초 혈류 개선에 효과적이어서 찬 손발 증상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우슬은 뼈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골다공증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뼈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며, 뼈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기여 할 수 있습니다. 우슬은 강력한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체내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산소 라디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만성 질환의 위험을 감소 시키고,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우슬이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당뇨병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체중 관리와 관련하여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도 관찰되었습니다.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인 두충우슬추출복합물(KGC08EA)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인 두충우슬추출복합물(KGC08EA) (제2023-40호)은 남성의 갱년기 건강 관리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된 원료입니다. 이 복합물은 두충과 우슬이라는 두 가지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주요 원료로 합니다. 각각의 성분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과 함께 복합적인 효과를 통해 남성의 갱년기 관련 건강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남성 갱년기 in vitro 모델에서 두충우슬추출복합물(KGC08EA)의 효과
남성 갱년기라고 알려진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Late-onset hypogonadism, LOH)은 나이가 들면서 라이디히 세포 (Leydig cell)에서의 테스토스테론 합성 능력이 감소하여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연구는 H2O2로 스트레스 받은 TM3 세포를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의 존재하에서 두충 추출물, 우슬추출물, 또는 두 추출물의 혼합물(KGC08EA; 1:3, 1:1, 3:1 비율)로 처리한 후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측정했습니다. KGC08EA (3:1)는 1에서 500 μ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최대 34배까지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농도 의존적 증가를 나타냈습니다(P<0.001). 또한, 테스토스테론 합성 효소 중에서 17β-HSD1과 3β-HSD4의 mRNA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테스토스테론 분해 효소인 5α-reductase2와 아로마타제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습니다(P<0.05). 결론적으로, KGC08EA (3:1)는 테스토스테론 합성 효소를 증가시키고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현저하게 향상시킴으로써 LOH를 개선할 수 있는 건강 기능 식품 소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노화된 쥐 모델에서 테스토스테론 결핍 완화 효과
노화 과정에서 남성은 피할 수 없이 테스토스테론 감소, 신체력 저하, 지방량 증가 등의 변화를 겪게 됩니다. 특히, 생체 내 테스토스테론 결핍의 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2주된 Sprague-Dawley 쥐에게 6주 동안 두충우슬추출복합물(KGC08EA) 를 투여했습니다. KGC08EA 투여 전, 22주된 SD 쥐에서 7주된 SD 쥐(정상 대조군)에 비해 테스토스테론 감소가 확인되었습니다. KGC08EA를 20, 40, 80 mg/kg로 6주간 투여한 후, 40 mg/kg에서 테스토스테론, 유리 테스토스테론, mRNA 발현 수준(Cyp11a1과 Hsd3b1)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으며, Cyp19a1과 Srd5a2의 mRNA 발현 수준은 이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40 mg/kg과 80 mg/kg에서 수영 유지 시간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요약하자면, KGC08EA는 40 mg/kg에서 생체 이용 가능한 테스토스테론,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 테스토스테론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을 증가시켜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촉진했습니다. 또한, 80 mg/kg EUAJ(3:1)는 신체 및 고환 기능도 증가시켰습니다.
인체적용 시험
40세 이상의 남성 중에서 남성 갱년기 증상 설문지(AMS) 점수가 27점(중등도) 이상이고, 총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3.5 ng/mL 미만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설문지는 정신적, 신체적, 성적 증상을 포함하여 총 1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증상의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깁니다. 연구 참가자 96명에게 두충우슬추출복합물(KGC08EA)을 하루 500mg씩, 총 8주간 섭취하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연구 시작 전과 비교하여 AMS 총점과 남성 갱년기 증상 설문지(ADAM)의 '예'로 답한 항목 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총 테스토스테론과 유리 테스토스테론 수치도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이 연구는 두충우슬추출복합물이 남성 갱년기 증상을 겪는 중년 남성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증상의 완화뿐만 아니라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증가를 통해, 남성들이 보다 활기찬 중년기를 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건강 기능성 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력 개선 기능성 원료 천마 등 복합추출물(HX106) (4) | 2024.03.26 |
---|---|
관절건강 참나리추출분말 (0) | 2024.03.13 |
면역 증진 기능성 소재 락토페린 (Lactoferrin) (0) | 2024.02.25 |
수면의 질 개선 기능성 원료 L-글루탐산발효 가바분말 (1) | 2024.02.01 |
갱년기 여성 건강 기능성 원료 석류 농축액 (1)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