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테인은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물질로, 주로 시금치, 브로콜리 등의 녹색 채소나 달걀 노른자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루테인은 우리 눈의 망막 중앙부에 위치한 황반에 존재하는 주요 성분이며, 눈에 유해한 파란 빛을 흡수하여 눈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 루테인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은 루테인(루테인지아잔틴추출복합물)은 황반변성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많이 있습니다. 황반변성은 눈의 중심 시야가 흐려지는 질환인데, 이는 고령이나 과도한 스트레스, 부적절한 식습관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루테인은 이러한 황반변성을 예방함으로써 시력저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눈의 피로를 완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루테인은 시금치, 케일, 브로콜리, 달걀 노른자 등을 통해 섭취할 수 있으며, 루테인 보충제를 통해 쉽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루테인은 지용성 비타민이기 때문에 지방과 함께 섭취해야 효과적으로 흡수됩니다. 그래서 루테인을 함유하 식품을 섭취할 때는 기름진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루테인 섭취에 있어서 과도한 섭취는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에 하루에 6~10mg의 루테인을 섭취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되는 루테인은 대부분 금잔화(marigold)에서 직접 추출하거나, 균류를 이용한 발효 공정을 통해 얻어집니다. 식물을 대량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어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미생물을 이용해서 친환경적이며 고효율적인 방식으로 루테인을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루테인복합물 기능성 연구 (동물실험)
루테인에 대한 동물실험의 예로 2016년 PLoS ONE 저널에 발표된 연구가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루테인과 지아잔틴이 함유된 식이 보충제를 섭취한 쥐의 눈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실험 결과, 루테인과 지아잔틴을 섭취한 쥐들은 섭취하지 않은 쥐들에 비해 황반의 건강이 더 잘 유지되었으며, 특히 노화에 따른 황반 변성의 진행이 느려졌습니다. 또다른 동물실험에서는 루테인과 지아잔틴이 담배연기로 인한 눈손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실험에서 루테인과 지아잔틴을 보충한 쥐들은 담배연기에 노출된 쥐들에 비해 눈의 손상 정도가 더 적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들은 루테인과 지아잔틴이 눈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루테인복합물 기능성 연구 (인체적용 실험)
루테인지아잔틴 복합물 섭취가 황반색소 밀도와 시력을 개선하는지 알아보기위해 진행된 연구가 있습니다. 연구 대상은 20대 성인 120명으로, 특별한 눈질환(황반색소 변성, 백내장 등)이나 전신질환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60명씩 나누어, 실험군에게는 루테인복합물 20mg을, 대조군에게는 콩기름을 각각 알약형태로 만들어 하루에 한 번씩 6개월 동안 섭취시켰습니다. 매 월 황반색소 밀도를 Macular Pigment Screener II (MPS II ®)로 측정하고, 보충제 섭취 전 후 6개월 간 시력, 굴절률, 대비 감도를 측정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대조군의 황반색소 밀도는 6개월 후에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기초 0.64±0.10에서 실험 종료 시 0.63±0.13). 반면, 루테인복합물을 섭취한 실험군은 보충제 섭취 전 0.62±0.11에서 섭취 후 0.68±0.1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습니다. 실험군에서 고도 또는 저도 근시를 가진 대상자들의 황반색소 밀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중등도 근시를 가진 대상자들은 유의한 변과가 없었습니다. 실험군의 양안 가시력은 보충제 섭취 후 유의미하게 개선했습니다. 대부분 주파수에서 대비 감도가 개선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모든 주파수에서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6개월간의 루테인 보충제 섭취는 황반색소 밀도, 근시, 가시력, 선택된 주파수에서 대비 감도를 개선합니다.
루테인 시장규모 및 전망
루테인 세계 시장규모는 2023년 3억 5,189만 달러로 2030년 6억 1,878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 동안 8.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tratistics MRC). 이는 주로 노인 인구의 증가와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로 인해 눈 건강 문제가 부각되면서 루테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루테인이 신체의 다른 부분, 특히 심혈관 건강과 피부 건강에도 이점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많아지면서 루테인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인식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는 루테인의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아 의약품으로 등록되었으며, 루테인 시장의 40% 이상이 당뇨 및 심장질환 등 기타 건강보조 식품에 의한 매출이라는 미국의 조사(VMHS)도 있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도 매우 밝습니다. 노인 인구와 스마트폰, 컴퓨터 등 디지털 기기 사용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루테인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식품 및 음료에 적용되는 천연 착색료로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가 루테인의 새로운 활용 분야를 개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건강 기능성 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 미역 등 복합 추출물(잔티젠) (0) | 2024.01.23 |
---|---|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 시서스추출물 (CQR-300) (0) | 2024.01.18 |
유익균 증식, 유해균 억제 기능성 원료 락추로스(Lactulose) (0) | 2024.01.15 |
피로 개선 및 운동 능력 향상 기능성 원료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2) (1) | 2024.01.10 |
알코올 손상으로부터 간 보호 기능성 원료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1) (0) | 2024.01.08 |